하천오염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로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과 함께 가장 많이 쓰인다. 유기물이나 아질산염, 황화물 등의 물질은 산화제를 넣어주면 산화반응이 일어나면서 분해되는데, 이때 사용된 산화제의 양에 따른 산소량을 표시한다. 오염된 물일수록 유기물이 많기 때문에 산화에 필요한 산화제의 양이 늘어나고, 따라서 COD값도 커지게 된다. 산화제로는 과망간산 칼리나 중크롬산 칼리가 사용된다. 단시간에 검사가 가능하므로 오염의 개략 치를 추정하는 데 주로 쓰인다.
반응형
'환경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용존산소) Dissolved Oxygen (0) | 2021.05.06 |
---|---|
DNA 바코드 DNA Barcode (0) | 2021.05.06 |
CMIT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MIT (메칠이소티아졸리논) (0) | 2021.05.06 |
C40 세계도시 기후정상회의 C40 World City Climate Summit (0) | 2021.05.06 |
BOD(생화학적 산소 요구량) (0) | 2021.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