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질오염 정도를 나타내는 주요 지표로서, 측정원리는 호기성 미생물이 물속의 유기물을 분해할 때 소요되는 용존산소량(DO)의 양을 통해 물의 오염도를 간접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BOD가 높을수록 물의 오염도가 높다. 1ℓ의 물속에 1mg(1,000분의 1g)의 산소가 필요할 때를 1ppm이라고 한다. 상수원수는 3ppm 이하여야 하고, 5ppm 이상이 되면 하천은 자기 정화 능력을 잃으며, 10ppm을 넘을 때는 시궁창 하천이 된다.
반응형
'환경용어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CMIT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MIT (메칠이소티아졸리논) (0) | 2021.05.06 |
---|---|
C40 세계도시 기후정상회의 C40 World City Climate Summit (0) | 2021.05.06 |
BAU(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0) | 2021.05.06 |
ABSCH(유전자원정보관리센터)Access and Benefit-Sharing Clearing-House (0) | 2021.05.06 |
ABS(Access to Genetic Resources and Benefit-Sharing) 유전자원의 접근과 이익공유 (0) | 2021.05.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