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체애가1 시편 137편 시편 137편 I. 형식과 배경 찾기 A. 형식 공동체 애가 B. 배경 추방에서 귀환한 유대인들이 쓰라린 추방 생활을 회상하며 쓴 시. II. 주석 A. 제1연 (1-4절): 회상과 통곡 1-4절은 “우리”가 주어로 등장하나, 5,6절에서는 “내”가 주어로 등장한다. 1절: “우리가...앉아서”(1절)는 깊은 애환과 슬픔으로 애곡함과 관련하여 사용되는 표현이다. “울었도다”에 해당하는 원어는 ‘방성 대곡하다’ ‘죽음으로 인하여 애곡 하다’ ‘큰소리로 울 다’라는 의미를 지니며 사랑하는 사람이 죽었을 때와 같이 억제할 수 없는 큰 슬픔으로 인하여 주위를 돌아보지 않고 큰 소리로 우는 모습을 나타낸다. 주전 587년 예루살렘이 느부갓네살에게 함락된 후, 이스라엘 백성들은 바벨론으로 포로가 되어 잡혀갔다. 그.. 2021. 4. 4.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