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상21 로마서 13장 세상 통치자들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태도 세상 통치자들에 대한 그리스도인의 태도(13:1-7) 이 단락은 세상 통치자들에 대한 그리스도인들의 복종이라고 하는 특별한 주제를 매우 잘 짜인 논점 전개로 기술해 간다. 바로 앞에서 사랑 주제를 다뤘고, 8절부터 또 사랑 주제를 다룬다. 그러니 어찌 보면 12:21절에서 13절 8절로 넘어가는 것이 자연스러워 보인다. 그 사이에 이 단락, 13:1-7절이 있다. 그래서 어떤 학자들은 후대의 첨가 단락으로 보기도 한다. 실은 이 세상 악한 정권에 저항하는 개혁적인 사람들에게 이 단락은 불편하다. 그리스도인들이 극단적 현세 부정주의에 빠질 수 있는 위험이 있다. 그런데 아마도 바울은 그리스도인이 살고 있는 세상과 전혀 다른 세계에 대해 말하고 있다. 원수 사랑. 이런 과정 속에서 혹시라도 그리스도인들이 극.. 2021. 3. 15. 로마서 12장 (2) 사랑의 교훈 2021.03.15 - [묵상] - 로마서 12장 (1) 그리스도인의 삶, 영적 예배 로마서 12장 (1) 그리스도인의 삶, 영적 예배 변화시키는 복음의 능력: 그리스도인의 삶 (12:1-15:13) 실천적 권고 본 단원은 권면으로서, 1-11장의 신학적 가르침에 뿌리를 두고 있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보면, 아담 안에서 모든 인 acorneroftheworld.tistory.com 사랑의 교훈(12:9-21) 9-21절은 사랑 주제를 소개하는 9절의 표제와 이를 확장 설명하는 세 개의 소 단락으로 구분된다. 1) 10-13절 일련의 연결된 교훈들 2) 14-16절 독립적인 권면들 3) 17상-21절 원수들에 대한 태도 그러면서 이 내용을 다른 관점에서, 사랑의 교훈이 표제라고 했을 때, 사랑.. 2021. 3. 15. 로마서 12장 (1) 그리스도인의 삶, 영적 예배 변화시키는 복음의 능력: 그리스도인의 삶 (12:1-15:13) 실천적 권고 본 단원은 권면으로서, 1-11장의 신학적 가르침에 뿌리를 두고 있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펴본 내용을 보면, 아담 안에서 모든 인간은 죄의 노예였다. 그런데 하나님은 사랑하는 아들을 통해서 죄의 권세를 무너뜨리고 믿는 자들을 죄의 통치에서 해방시키시고 그리스도의 통치 아래로 옮기셨다. 이런 관점에서 믿는 자들의 삶은 그리스도의 주권에 사로잡혀 있는 삶이다. 주인이 달라졌다. 이적을 한 것이다. 죄에서 순종으로, 죄에서 하나님으로. 그리스도의 통치와 그리스도인의 자유, 그리스도의 통치로 말미암아 그리스도인들에게 주어진 것은 자유이다. 그리고 그리스도께 대한 믿음과 순종, 이러한 개념들은 결코 분리될 수 없는 일체적 개념들이다. 앞.. 2021. 3. 15. 로마서9-11장 서론 이스라엘의 불신앙과 하나님의 신실성 이스라엘의 불신앙과 하나님의 신실성(9-11장) 1-8장의 논의로부터 비롯되는 질문을 다룬다. 이스라엘의 불신앙과 하나님의 신실하심이 핵심 주제로 떠오른다. 8장까지의 교리적 논의를 하게 되었을 때의 생겨나게 되는 질문에 대한 답변이 9-11장까지의 내용이다. 바울은 8장까지 유대인과 이방인 모두가 믿음을 통해서 아브라함 자손에게 속한다는 주제를 다루어왔다. 아브라함의 진정한 자손은 유대인들의 생각처럼, 민족적 혈통이나, 할례, 율법에 의해서가 아니라 믿음으로 의롭다 함을 받는 자들임을 선언했다. 그런데 이러한 원리는 이스라엘의 특권을 무효화한 듯 보인다. 바울은 이와 관련된 문제를 9-11장에서 다룬다. 바울은 여기서 이스라엘을 향한 하나님의 언약적 성실성을 논증한다. 바울 자신이 제시한 ‘믿음 칭의론.. 2021. 3. 14. 로마서 8장 - 하나님의 영의 내주로 특징지어지는 삶 로마서 8장 - 하나님의 영의 내주로 특징지어지는 삶 생명의 영의 내주 하심(8:1-11) 8장의 첫 번째 단락 1-11절은 7:25보다는 7:6과 연관된 것으로 보인다. ‘영의 새로움 안에서 섬기도록. 3절은 2절의 ‘그리스도 안에’(evn Cristw/| VIhsou/')를 보다 명백히 설명한다. 그 해방이 그리스도 안에서 일어났다고 했는데. 1절에서의 자유, 2절에서의 진실된 결과적 해방의 기초가 무엇이냐를 3절에서 분명하게 보여준다. 4절은 하나님께서 자기 아들을 보내신 목적이 무엇인지를 밝혀 준다. 그 목적이란 신자들의 삶 가운데 하나님의 법을 진정으로 세우는 것이다. 5-8절은 현존하는 절대적인 두 대립 세력을 강하게 대조시킨다. 그 두 개의 대립세력은, ① 한편으로, 하나님의 영과 그에게 속.. 2021. 3. 14. 이전 1 2 3 4 5 다음